top of page

원형(prototype)과 편견

날씨가 더워지자 주변에서 몸 관리를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노출이 많아지니 너도나도 살을 빼려고 애쓰는 것이다. 그런데 남녀의 운동 방식에 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우선 남자는 근육을 키우면서 근육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체지방을 줄여나간다. 웨이트나 머신을 활용해 무거운 중량을 들어올리고, 유산소 운동은 준비 운동이나 마무리로 간단히 한다. 반면 여자는 웨이트와 같은 근력 운동보다는 사이클이나 러닝머신 등 유산소 운동에 집중하면서 체지방을 태운다. 이런 현상을 헬스자에서 관찰하면 근력 운동 영역과 유산소 운동 영역에 보이지 않는 경계가 있는 느낌이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무엇일까? 성(gender)에 대한 원형(prototype)과 관계가 큰 것 같다. 우리는 종종 키가 크고, 어깨가 넓고, 근육이 발달한 사람의 형태를 보며 "남자답다"고 말한다. 그것이 남성의 원형에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성성이 중요한 사람들은 남성의 원형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열심히 근육의 부피를 키울 것이다. 하지만 키가 크고, 어깨가 넓고, 근육이 발달한 사람의 형태를 보며 “여성스럽다”고 하지 않는다. 여성의 원형과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성이 중요한 여자들은 근육을 키우는 운동을 꺼릴 가능성이 크다.

원형이 무엇이길래 여자다움과 남자다움을 구분하는 것일까. 더 나아가 원형은 어떻게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지금부터 이러한 물음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원형(prototype): 대상을 인식하는 원리

사람이 대상(object)을 인식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으로 "원형 이론(prototype theory)"이 있다. 우리는 서로 다른 책상이라 하더라도, 내 방에 있는 책상과 학교에서의 책상을 같은 "책상"이라는 물체로 인식한다. 또, 길에서 서로 다른 종의 고양이를 보더라도 모두 "고양이"라는 동물로 인식한다. 그 이유는 우리가 책상과 고양이에 대한 원형(prototype)을 머릿속에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로 다른 책상을 관찰하면서 책상의 공통된 특징을 뽑아내고, "다리가 네 개이고, 상판은 평평하며 주로 원목으로 제작되는 어떤 물체"라는 추상적인 형태로 책상의 원형을 저장한다. 같은 원형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책상이라 하더라도 모두 “책상”이라는 물체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원형으로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보여준 대표적인 실험 내용이다.

Winkielman, P., Halberstadt, J., Fazendeiro, T., & Catty, S. (2006). Prototypes are attractive because they are easy on the mind. Psychological science, 17(9), 799-806.

연구자는 참가자들에게 원형은 보여주지 않고, 원형과 비슷한 정도를 조작한 자극들을 보여준다(level 1-4). 위 실험에서는 두 가지 원형이 사용되었고, 연구자는 두 원형을 각각 ack(윗줄)와 blub(아랫줄)으로 명명했다. 이후 피험자는 재인 검사(recognition test)를 수행한다. 검사 자극이 제시됐을 때, 그것이 이전에 학습한 자극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자극이 원형과 비슷할수록 피험자들은 빠르게 응답했고, 선호도 검사에서는 원형과 비슷한 자극을 더 선호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원형을 보지 않아도 자극을 학습하면서 원형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원형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형과 편견의 관계

그렇다면 원형은 어떻게 편견에 영향을 미칠까? 원형은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일 뿐 편견과는 상관없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위의 실험에 따르면 원형은 두 가지 방식으로 편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첫 번째로, 대상이 원형과 유사할 때 대상과 관련된 사회적 개념의 처리가 수월해진다. 편견과 관련된 연구에 따르면, 같은 흑인이라 하더라도 아프리카 인종의 특성을 더 많이 갖고 있는 흑인일수록 흑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많이 활성화시키고, 범죄에 대한 형량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Macrae, C. N., & Quadflieg, S. (2010). Perceiving peopl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원형이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방식은 선호도이다. 원형과 유사할수록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은 원형과 유사하지 않을 때 선호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남자”라는 정체성이 중요한 사람들에게 남성성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주면, 남성성이 높은 남자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남성성이 부족한 남자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남성성이 부족한 다른 남자들을 배척함으로써 자신의 남성 정체성을 회복하는 모습이 나타난 것이다.

Schmitt, M. T., & Branscombe, N. R. (2001). The good, the bad, and the manly: Threats to one's prototypicality and evaluations of fellow in-group member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7(6), 510-517.

정리

우리는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마다 머리 길이, 옷 차림새 등의 단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여자인지, 남자인지 판단하지 않는다. 남자와 여자에 대한 원형이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순식간에 상대방의 성을 판단한다. 이것이 원형의 효율성이고, 인간의 인지적 시스템이 진화한 방식이다. 하지만 원형을 활용하기 때문에 편견이 생기기도 한다. 그 이유는 원형이 단순히 물리적 특성으로만 저장되는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사회적 개념과의 연합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원형에 의한 편견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원형 자체가 수정 가능하다면 원형을 수정하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 하지만 원형은 세상을 효과적으로 지각하는 인간의 인지적 시스템이기 때문에 원형을 수정한다는 것은 편견 뿐만 아니라 세상 전반을 지각하는 방식 자체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방법이 효과적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다른 방법은 원형과 관계되는 사회적 개념을 수정하는 것이다. 흑인이라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고, 여성이라고 해서 능력이 부족하다는 식의 사회적 개념을 수정한다면 원형에 따른 편견이 감소할 수 있다. 마지막 방법은 원형에 의해 편견의 작용을 인지하고, 원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판단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의 인사 채용에서 면접에 대한 비중을 낮추고, 필기시험이나 서류의 비중을 높여 성별, 인종 등에 대한 편견의 작용이 감소시킬 수 있다. 인간의 인지 과정이 편견에 취약하므로 이러한 사회적 시스템을 통해 편견의 작용을 최소화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발제조: 최윤석, 백승민, 정유진

​카테고리
​최근 게시물
태그
아직 태그가 없습니다.
  • Facebook Basic Square
  • mental2
bottom of page